/*** 문서번호: nabiro_201204121014* 검색어: nabiro, 맥북, 맥북에어, 모니터링, 분실, 도난, macbook, mac, monitoring, monitor, steel, hidden* 출처: * 참조: **/ https://hiddenapp.com 위 사이트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분실 시 약간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년에 10$ 정도의 비용이 청구됩니다. 현재 사용중인데 그냥 보험 들었다 생각합니다.
/** * 문서번호: nabiro_201203181337 * 검색어: nabiro,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date, now, 날짜, sbm, submitDate, submit, 비교 * 출처: * 참조: **/ serena SBM 으로 날짜 관련된 비교를 위해 javascript 예제를 만들어 둡니다. 단순 참조용 자료 입니다. AddLoadCallback( function() { diffDate = 20120301 // 2012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이전일에 접수된 경우 모든 필드 보여주고 // 그렇지 않은 경우 일부 필드는 숨깁니다. var now=new Date(); year = now.getYear();// 현재 년도 가져오기 month = now.getMonth() + 1 // ..
/** * 문서번호: nabiro_201203071600 * 검색어: nabiro, ant, ftp, upload, 한글파일, 한글깨짐, 파일명, 업로드 * 출처: * 참조: **/ ANT_HOME 디렉터리 아래의 lib 디렉터리에 보면 commons-net-*.jar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은 이름이 한글로 된 파일은 서버에 업로드 할 때 ???? 문자와 같이 이상하게 한글이 깨지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파일 소스를 내려받아 euc-kr 인코딩을 지원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빌드 후 .jar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합니다. 혹시나 저와같이 한글파일 업로드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계실까해서 commons-net-3.1.jar 파일을 업로드 해둡니다.
Ant에서 ssh, scp 등을 이용할 때 근래들어 jsch 라이브러를 이용하였습니다. 초창기에 아래와 같은 에러들을 만나고는 합니다. com.jcraft.jsch.JSchException: reject HostKey 해결 방법은 ant task 옵션에 아래와 같이 truest="true" 값을 추가하면 해결 됩니다. 에러가 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 문서번호: nabiro_201201091522 * 검색어: nabiro, hudson, subversion, svn, commit, update, error, is not under version control * 출처: * 참조: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400893/how-to-checkout-from-svn-with-an-ant-task, **/ Ant 만을 이용하여 Subversion 관련 기능을 구현할 때에 svnAnt 를 사용하게 됩니다. ant의 build.xml 파일을 구성하여 테스트 할 때는 잘 되는데 Hudson을 이용하여 연결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is not under version control 환..
/** * 문서번호: nabiro_201201031347 * 검색어: nabiro, 배치, 배치파일, batch, date, time, 날짜, 시간, 변수 * 출처: http://kldp.org/node/58297 * 참조: **/ 윈도우에서 DOS용 배치파일을 작성할 때 날짜나 시간을 변수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예제입니다. @echo off setlocal : %date%에서 모든 하이픈(-)을 지워 버림 set date2=%date:-=% : %time%에서 모든 공백을 0으로 고침 (시각 부분이 zerofill된 게 아니라 그냥 right justify 되어 있어서...) set time2=%time: =0% : %time2%의 시각 부분과 분 부분만 잘라 ..
/** * 문서번호: nabiro_201112121600 * 검색어: nabiro, 윈도우7, diskpart, fdisk, 파티션, 포맷 * 출처: * 참조: **/ 1. diskpart 실행 DISKPART> diskpart 2. 파티션 설정할 디스크 설정 (첫번째 디스크: 0, 두번째 디스크: 1) DISKPART> sel disk 0 3. 파티션 생성 (아래의 예는 10 GB 할당하는 예입니다. 전체를 모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ize=10240 부분을 생략합니다) DISKPART> create partition primary size=10240 두번째 파티션을 생셩하려면 (아래의 예는 두번째 파티션으로 20GB 를 설정하는 예제입니다. 두번째도 primary 단어를 사용합니다.) DISKP..
/** * 문서번호: nabiro_201111291149 * 검색어: nabiro, 맥북, Macbook, Mac, Google Music, 구글 뮤직, 삭제, remove , delete , uninstall, 방법 * 출처: http://www.google.com/support/forum/p/Google%20Apps/thread?tid=0a970d39f12fb558&hl=en * 참조: **/ 맥북에서 google music 을 삭제하려고 AppZapper를 이용해서 삭제해도 계속해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어 검색을 해보니 위의 출처 사이트에 답글이 있었습니다. 1. 응용프로그램 디렉터리에서 Music Manager 를 휴지통으로 보냅니다. 2. /라이브러리/Application Support/..
/** * 문서번호: nabiro_201111121847 * 검색어: nabiro, iphone, 아이폰, 벨소리, 문자음, 문자, 소리, m4r, m4a, caf, aiff, caf, 변환, 설정 * 출처: * 참조: http://www.everythingicafe.com/forum/threads/converting-caf-to-m4r.63333/ **/ 인터넷에 아이폰용 문자음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으면 파일의 확장자가 대부분 .caf 입니다. 대부분 iOS에서 문자음 설정 변경을 지원하지 않았던 시절에 탈옥을 하여 문자음을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iOS 5.0 이상에서는 문자음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다운로드 받은 .caf 파일을 .m4r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맥북에서 바탕화면 보기 단축키는 Fn + F11키, Command + F3 키 입니다. 터치패드 제스처로는 네 손가락을 얹은 후에 벌리시면 됩니다. 제스처로 바탕화면 보신 후 다시 이전 작업화면으로 돌아가실 때에서 네 손가락을 얹으신 후 벌리시면 됩니다. 오므리시는거 아닙니다. 물론 설정에서 Fn 키를 누르지 않고 펑션키가 동작하도록 설정하신 분들은 Fn + F11 키가 아닌 그냥 F11 키 누르시면 됩니다. 역시 Command + F3 이 아닌 Command + Fn + F3 키가 되겠죠. (본인의 옵션 설정에 따라 틀립니다) 문서번호: 201111101424 검색어: nabiro, 맥북, 단축키, 바탕화면, 바탕화면보기, 보기, F11, Ctrl + F3, Fn + F11, Fn, F3 출처: htt..
/** * 문서번호: nabiro_201111101419 * 검색어: nabiro, 맥북, Finder, 파인더, 단축키, F2, rename, 파일 이름 바꾸기, 이름바꾸기, 이름, 이름변경, 바꾸기, 변경 * 출처: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cm_mac&wr_id=488809&page=1 * 참조: **/ 윈도우즈에는 탐색기에서 파일명 변경할 때 F2 단축키를 누르면 됩니다. 맥북의 Finder에서는 파일명 클릭하신 상태에서 그냥 Enter 키 누르시면 파일명 변경할 수 있습니다.
/** * 문서번호: nabiro_201111101413 * 검색어: nabiro, 맥북, 압축, 파일, 한글, 깨짐, 윈도우, 압축해제, 반디집, 압축시대, 7zip * 출처: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cm_mac&wr_id=488830&page=1 * 참조: **/ 맥북에서 압축된 파일안에 한글로 된 파일명이 있는데 이 것을 윈도우에서 압축 해제할 때 한글로 된 파일명이 모두 깨져서 풀리는 경우에는 반디집(압축시대) 라는 유틸을 이용해서 압축을 해제하면 한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